개인의 특성(성격)이 어떤 직무와 조화를 이루는가?
-> ‘개인-직무 간 적합성(Person-Environment Fit)’을 토대로 직업을 선택. -> 2가지 이론
1. 특성 요인 이론
- 가정
1) 개인은 측정 가능한 특성 보유하고 있다.
2) 직업에는 성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특성이 존재.
3) 개인 특성과 직무요건이 부합하면 만족도가 높음.
-> 직업 선택은 자신, 직업 업무 환경을 알고 합리적으로 매칭하는 것이 좋음.
- 능력: 직무 관련 능력, 일반적 지적 능력, 사무 능력, 기계조작 능력에 초점을 맞춤.
+ 일반적 지적 능력은 ‘귀납적 및 연역적 추론 능력’, ‘사물의 상호관련성 및 패턴을 발견해내는 능력’을 뜻함. 직무성과 관련이 높음(상관 0.80).
2. 홀란드 성격 유형 이론
- 가정
1) 직업적 흥미는 성격의 한 측면임
2) 대부분 직업 흥미와 직업 환경은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음
3) 사람은 능력과 기술을 발휘하고, 태도와 가치를 표현하고, 잘 맞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추구함
4) 개인의 행동은 성격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됨
- 6가지 유형
1) 현실형(Realistic Type): 손 기술을 사용하거나 기계를 다루는 일을 선호, 현실적이고 구체적을 행동, 행동에 즉각적인 결과를 도출하길 선호(눈에 보이지 않거나 모호한 결과를 도출하는 일 불호), 기술과 도구를 사용하는 일이므로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 -> 결과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인간관계 형성이나 유지에 대해 관심이 적음
-> 건축가, 엔지니어, 운전사, 조종사, 기계 다루는 직업 등
2) 탐구형(Investigative Type): 지적이고 분석적, 과학적 사고가 필요한 일 선호. 문제해결, 탐구 지식의 적용 및 창출에 관심. 수학, 과학, 물리학 등 순수 학문에 관심 믾음 -> 과학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중시. 연구하는 일 좋아함.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 강함. 새로운 분야에 도전 즐김 -> 지적이고 창의적, 개방적.
-> 교수, 연구원, 사회과학자, 천문학자, 공학자 등
3) 예술형(Artistic Type): 예술적 분야에 관심 많고 표현력 좋음. 관습적인 일 싫어하고 독창적이고 이상적인 방식 선호. 규칙이나 마감기한, 통제 싫어함. 참신한 아이디어나 예술적 역량이 필요한 직무에 적합. 꾸준하고 반복적인 작업 불호
-> 음악가, 화가, 디자이너, 작가 등
4) 사회형(Social Type): 사회적 활동에 관심이 많고, 타인을 돕고 이해하며 협동하는 것 좋아함. 대인관계 좋음. 융통성 잇고 사회성이 강하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을 일을 중시.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일하는 것을 좋아하고, 혼자 수행하는 일 불호.
-> 상담자, 성직자, 간호사, 교사, 사회복지사 등
5) 진취형(Enterprising Type): 사람을 지도하거나 상품 판매 처럼 자신이 기획한 것을 실행하고 성취하는 일 선호.
적극적이고 대중적이며 말솜씨가 좋고 자신감과 리더십이 있음. 타인을 설득하여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고 자신이 의도한 대로 주도하는 일에 매력을 느낌.
-> 법률가, 정치인, 경영인, 사업가, 영업사원, 연출가 등
6) 사무형(Conventional Type): 자료나 문서 기록 및 정리 같은 규칙적인 일 선호. 규칙에 따라 일하며 시간 개념이 철저함. 예술적이거나 창의적인 일, 다른 방식으로 하는 일에 흥미가 적고, 반복적이고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을 선호.
-> 재무 및 회계 관련 직업, 컴퓨터 프로그래머, 사서 등
- 해석
- 반드시 한 가지 유형의 일만 선호하는 것은 아님. 여러 가지 유형을 가질 수 있고 직업 또한 여러 유형의 조합이다.
- 육각형 모형을 이루며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관이 높다.
- 진단지표
1) 일치성
: 자신의 흥미 유형과 현재 직업(전공)이나 선택하고자하는 환경의 유형이 부합하는 정도
-> 개인 유형과 직업 유형의 유사성. 높을수록 만족감과 근속연수가 긺
2) 일관성
: 자신의 하위 유형들이 유사한 정도
-> 육각형에 서로 인접할수록 흥미의 일관성이 높음.
->흥미의 방향성이 일관적이기 때문에 직업 탐색이 수월함(상반될 경우 그런 직업이 많지 않아 어려움)
좌측은 일관성이 높지만, 우측 2가지는 상반되기 때문에 직업을 찾기 어려울 수 있음
3) 변별성
: 특정 유형이 다른 것보다 높으면 변별성이 높음
-> 상대적 명확함. 변별성이 높은 사람은 뚜렷한 관심을 갖는 특정 분야가 있음
좌측은 명확하나, 우측 2가지는 변별성이 낮음
4) 정체성
: 목표, 흥미, 재능에 대한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일치성, 일관성, 변별성에 의해 영향 받음)
-> 3가지 지표가 높을수록 직업 선택 과정에서 명확한 자기 정체성을 가짐
+ 나의 검사 결과
나의 대표 흥미 코드는 ES(진취형, 사회형)이다.
진취형과 인접한 사회형이 높으므로 일관성이 높다. 또한 점수가 현저하게 낮은 관습형, 현실형과 비교하여 진취형이 큰 차이를 보이므로 변별력이 높다. 일치성에 관해서는 심리학과(사회과학계열)가 진취형과 잘 맞고 부합한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치성은 높을 것이다. 3가지 지표가 높으므로 정체성 또한 높다고 볼 수 있다.
사회형 검사의 타당성이 도덕을 선호 차원이 아니라 '의무 차원'으로 행하며 스스로에게 도덕적으로 엄격한 사람은 반영하지 못하는 것 같다. 사회형의 활동은 나의 성격과 전혀 맞지 않고 에너지 소모가 크며 도덕적 차원의 일은 직업으로 넘기고 싶지 않다. 쉽게 말하면 선한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일하고 싶은 것이지 누군가를 케어하고 싶지 않다. 나는 EA(진취형, 예술형)가 더 맞는 것 같다.